서예입문/서예자료

[스크랩] 서예관련 사이트 및 유용한 여러 사이트 모음

時丁 2012. 3. 4. 23:03

서예관련싸이트

서예관련싸이트서예세상 /한국서예학회/ 한국서도협회/

한국미술협회/ 한국서예협회한국서가협회/ 한국서각협회

한국민족서예인협회/ 서각사랑방청연서회/ 고려금석원/

월간까마/ 월간서예

 

베스트

이야기한자여행        (http://www.hanja.pe.kr)
세시이야기              (http://www.sesistory.pe.kr)
버섯하고 놀자          (http://ipcp.edunet4u.net/~mushroom)
쁘리디의 떠나볼까     (http://www.prettynim.com)
워킹맘                   (http://www.workingmom.pe.kr)
해솔이와 한솔이네 집 (http://www.solsol.pe.kr)

 

 

박물관

[서울] 김치박물관| 경찰박물관 | 국립국악박물관 | 국립민속박물관 | 국립서울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궁중유물전시관 | 농업박물관 | 롯데월드민속박물관 | 뿌리깊은나무유물관 |산악박물관 | 삼성출판박물관 | 삼성어린이박물관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서울교육사료관 | 세종대왕기념관 | 셀라뮤즈자기전시관 | 아프리카미술박물관 |암사동선사주거지 | 옹기민속박물관 | 우정박물관 | 외교박물관 | 전쟁기념박물관 |조흥금융박물관 | 지구촌민속박물관 | 체신기념관 | 피어리스아미기념관 | 한국사진박물관 |한국자수박물관 | 한국잡지박물관 | 한국통신박물관 | 호림박물관

 

[인천,경기] 가천박물관 | 강화역사관 | 경기도박물관 | 덕포진교육박물관 | 동양맥주자료관 | 마사박물관 | 목아박물관 | 배상면주가(전통술박물관) | 산림박물관 | 삼성교통박물관 | 석봉도자기미술관 | 신세계한국상업사박물관 | 인천광역시립박물관 | 인천상륙작전기념관 | 중남미박물관 | 철도박물관(부곡관) | 태평양박물관 | 토지박물관 | 한국김치관 | 한국등잔박물관 | 한국민속촌민속관 | 세중옛돌박물관

 

 

[강원] 강원민속박물관 | 대관령박물관 | 양구선사박물관 | 오죽헌 시립박물관 | 참소리축음기에디슨박물관 | 치악민속박물관 | 태백석탄박물관 | 한국스키박물관

 

 

[충북] 괴산향토민속자료전시관 | 국립청주박물관 | 문의기와전시관 | 잠사문화박물관 | 충주박물관

 

 

[대전,충남] 공주민속극박물관 | 국립공주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 | 국립중앙과학관 | 금산인삼종합전시관 | 대전광역시향토사료관 | 독립기념관 | 동산도기박물관 | 보령석탄박물관 | 복권박물관 | 연기향토사료관 | 예산보부상유품전시관 | 온양민속박물관 | 이충무공유물관 | 충남전기통신박물관 | 한밭교육박물관 | 화폐박물관

 

[전북] 강암서예관 | 국립전주박물관 | 동진수리민속박물관 | 동학혁명기념관 | 미륵사지유물전시관 | 벽골제유물전시관 | 한솔종이박물관 | 향토문화사료관

 

 

[광주,전남] 강진청자자료박물관 |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 국립광주박물관 |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나주배박물관 | 전라남도(영산호관광)농업박물관 | 향토문화관

 

 

[대구,경북] 건들바우박물관 | 경보화석박물관 | 국립경주박물관 | 국립대구박물관 | 대가야유물전시관 |독도박물관 | 문경새재박물관 | 소수서원서료전시관 | 안동시립민속박물관 | 영일민속박물관 | 직지성보박물관 | 하회동탈박물관/안동소주박물관

 

 

[부산,경남] 갈촌탈박물관 | 거제박물관 | 거창박물관 | 국립김해박물관 | 국립진주박물관 | 군립의령박물관 | 밀양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성산패총향토유물전시관 | 진주산림박물관 | 창녕박물관 | 통도사성보박물관

 

 

[제주] 신영제주영화박물관 | 제주교육박물관 |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 제주민속박물관 | 주문민속박물관 | 한국야구명예전당(전야구의집) | 테디베어 뮤지엄

 

 

여러가지 유익한 정보싸이트
우리의 한복 (http://user.chollian.net/~kjg0520/)
우리 민족의 전통의상인 韓服(한복)을 소개하는 사이트. 한복의 역사와 구조, 한복의 장신구 등을 소개하고 한복 입는 법, 한복의 변천사 등을 안내한다. 알록달록 색동 저고리, 기품있는 大禮服(대례복), 단아한 여성용 한복과 점잖은 남성용 한복까지 다양하다.

워킹맘 (http://www.workingmom.pe.kr)
일하는 엄마들의 커뮤니티. 워킹맘 이혜정씨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육아일기, 그림책, 놀잇감 등의 아이 키우기 정보와 이웃집 아이들의 육아일기를 볼 수 있다. 아내, 엄마, 며느리, 직장인의 1人4役을 모두 잘하고 싶은 여성들의 뜨거운 열정이 느껴지는 듯하다.

요리조리 (http://www.ihohos.com/)
한식, 양식, 일식, 중식까지 없는 요리가 없다. 테마별, 재료별 요리법 정보와 커피, 차, 칵테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 국물맛내기, 소스만들기, 요리힌트 등 나만의 비법을 소개하는 나눔터에 알짜 정보가 가득하다.

커피이야기 (http://my.netian.com/~rheakb/)
겨울을 좋아하는 운영자 이귀복씨가 소개하는 향긋한 커피 이야기. 커피의 유래와 종류별 특징, 커피 맛있게 끓이는 방법 등을 소개한다. 커피 즐기기에서는 모카카프리엔디, 에스프레소젤라틴, 스파이스커피, 버터커피 등 색다른 커피를 만날 수 있다.

조호철의 술 이야기 (http://user.chollian.net/~chhbin/)
술에 대한 의문을 조금이나마 풀어주고, 우리 飮酒문화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하여 사이트를 만들었다는 조호철씨가 제공하는 술 이야기. 술의 기원, 주류의 종류, 술과 건강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우리의, 한국의 맛 김치 (http://myhome.naver.com/hweeya/)
김치의 역사,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김치의 기원과 김치의 영양, 김치와 비슷한 다른 나라의 음식들, 특히 일본의 기무치와 김치를 비교하고 있다. 김치의 숙성, 보관 정보와 전통 김칫독까지 김치의 저장방법을 소개한다.

생활의 지혜 (http://www.betterlife.pe.kr/)
음식, 주거, 건강, 육아로 구분하여 실생활에서 응용할 수 있는 생활의 지혜를 소개하고 있으며 사이트 방문자가 알고 있는 유용한 정보를 소개할 수 있는 게시판을 준비하고 있다. 초보주부 박순금씨가 차곡차곡 모아놓은 생활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곳이다.
이야기 漢字여행 (http://www.hanja.pe.kr/)
장충고등학교 오형민 선생님과 함께 하는 이야기 한자여행. 한문과 전통의 만남을 주제로 세시, 절기, 고사, 왕릉 이야기에서부터 동양철학, 기초漢字, 속담 격언, 일일 漢字성어까지. 실로 방대한 자료의 양이 놀라울 따름이다.

세시이야기 (http://www.sesistory.pe.kr/)
달력 안에 있는 名節(명절)을 다 모았다. 설날, 정월대보름, 한식, 단오, 추! 석, 동지 등의 歲時(세시)이야기와 사계절 節氣(절기)이야기, 冠婚喪祭 전통의례에 관한 이야기들을 풀어가고 있다.

한국의 야생화 (http://www.wild-flower.pe.kr/)
깊은 산중에서 만나는! 이름 모를 야생화의 아름다움 속으로. 심기섭씨가 전국을 돌아다니며 힘들 게 촬영한 야생화 사진 갤러리와 한국의 야생화 이야기. 詩가 있는 들꽃, 포토에세이에서 만나는 따뜻한 글과 아름다운 사진이 마음을 향기롭게 한다.

한법경 미술교실 (http://www.iartedu.com/)
미술교육을 위한 정보를 모았다. 미술교육론, 교육자료실, 교과그림 등의 미술 교육자료와 실기 및 이론의 미술강좌, 동서양 미술사와 용어사전 등 미술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시대별 작품 갤러리와 전시회 소식 등을 볼 수 있다.

신동흔의 고전문학 세상
(
http://kkucc.konkuk.ac.kr/~shindh/)
건국대학교 국문과 신동흔 교수님의 口碑(구비)문학, 古典(고전)문학 세상. 단군신화부터 傳說, 民譚(민담), 夜話까지 고대부터 내려오는 수많은 고전문학 자료와 보고서, 논문 모음 등을 제공한다.

문화마케팅 (http! ://www.lutain.com/)
문화의 다양한 아름다움을 즐겁게 향유하고자 하는 문화마케터 김유정씨의 문화마케팅 사이트로 문화마케팅 뉴스, 문화포럼, 마케팅포럼, 문화인과 문화기업을 소개하고 미술, 영화, 문화계의 다양한 칼럼을 제공한다.
출처 : 김춘강갤러리
글쓴이 : 춘강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