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비(藝器碑)/조전비(曺全碑) 예기비(藝器碑) 서기 156년 건립 산동성 곡부 공자묘 소장 산동성 곡부에 있는 공자묘의 비림에는 한위(漢魏)이후 공자와 관련된 여러 석비들이 보존되어 있는데 을영비(서기153년), 사신비(서기 168년)와 더불어 공묘삼비라 부르고,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예기비이다. 예기비는 후한 .. 한문서체/예서 2015.05.12
고산 황기로(孤山 黃耆老·1521~1575) 고산 황기로(孤山 黃耆老·1521~1575) 초성은 어떤분인가? 자(字)는 태수. 호(號)는 고산(孤山)으로 중종(中宗) 14년(1519에 선산 고아면 망장(善山 高牙面 網張)에서 출생하였으며 경주부윤(慶州府尹) 상정(像亭) 필(필)의 손(孫)이며옥(沃)의 자(子)이다 명종조(明宗朝)에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한문서체/초서 2014.05.20
[스크랩] 손과정 서보의 미학사상 孫過庭『書譜』의 미학 사상 손과정(孫過庭)은 당나라 초기 우세남(虞世南)과 이세민(李世民) 등이 체계를 세운 서예 미학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다. 우세남과 이세민 등이 주장한 서예 미학의 표준은 충화(沖和)의 미학이었다.『필수론(筆髓論)․계묘(契妙)』에서 우세남은 “서예.. 한문서체/초서 2014.02.25
중국과 한국의 예서 ◈ 주자가례: (주자가 儒家의 禮法儀章에 관하여 상술한 책) 문공가례(文公家禮)라고도 한다. 5권. 부록 1권. 그러나 이것은 후인(後人)의 의탁(依托)이라는 설도 있다. 한국에 전해진 것은 고려 말 주자학과 함께 전래되었다. 그 뒤 명(明)나라 성화(成化)연간에 구준(丘濬)이 위의 주자가례.. 한문서체/예서 2014.02.12
[스크랩] 명필 명문 감상 - 제갈공명 후출사표 임진년이 시작되는 새해 아침에 저의 블로그 <i무릉도원>을 찾아주시는 귀한 분들을 위하여 명필 명문을 한 편 올립니다. 지난 번 <충신 악비가 쓴 제갈공명 출사표 / http://blog.daum.net/imrdowon/8467891>에서는 제갈공명의 출사2표 중 전출사표를 소개했습니다. 새해 첫 날, 좋은 글, 좋.. 한문서체/초서 2014.01.10
[스크랩] 집자성교서 임서의 효율적 방법 (1) 서예를 임서하는데 있어 연서(練書)의 효율적인 방법은 어떤 것일까요? 서예의 높은 경지에 빨리 도달하는 지름길은 없을까요? 이 글은 행서입문의 교과서라 불리는 집자성교서 임서에서 연서의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보려는 저의 시도를 올려 봅니다. 집자성교서 법첩은 이렇게 시작되.. 한문서체/행서 2013.12.28
중국 3대 행서 중국 서예 사상 가장 뛰어난 행서로는 왕희지의 <난정서>, 안진경의 <제질문고>, 소식의 <황주한식시권>을 꼽습니다. 후세 사람들은 위 세사람의 행서를 천하제1, 2, 3 행서라고 합니다. 지금부터 천하 최고의 행서를 감상하겠습니다. 1. 천하 제1 행서 왕희지의 <난정서> <.. 한문서체/행서 2013.12.19
언어의 탄생-반구대 암각화 ㆍ한국인 DNA에 내장된 조형언어의 원형은 ‘획쪼기·면갈기’ 한자문화권의 독자적 예술인 서예는 한국미의 정체성을 담고 있을 뿐 아니라 동아시아 문화를 꿰뚫는 보편성도 갖는다. 시서화가 붓끝에 합쳐진 만인의 예술인 동시에 현대미술과 디자인의 뿌리다. 이동국 예술의전당 서예.. 한문서체/초서 201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