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생성(生成)의 여섯가지 원리-六書 한자생성(生成)의 여섯가지 원리-六書 육서(六書)란한자가 만들어지게 된 여섯가지 원리를 말한다. 한자는 원래 갑골문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사물의형태를 그리는 상형문자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러나 상형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개념이나 존재에 대해서는다른 방법으로 이를 나타낼수 ..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7.03.12
서예 어떻게 쓸것인가? 서예 어떻게 쓸것인가? bisul [ 2004-04-27 ] 1,자각과인식 무엇을 하는가? 우리가 하는 일은 적어도" 예술이며 도" 라는 명제를 진지하게 받아들여야만한다.무턱대고 밥먹듯이 할수는 없다.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 했다.서예에 대한 인식을 고쳐야 하겠다. 왜하는가? 서예, 서도 그 자체의 ..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6.06.16
채옹(蔡邕)의 서예 미학 사상 채옹(蔡邕)의 서예 미학 사상 -중국 전통 서예 이론의 시작- 宋 明 信 (美學博士, 厦門大學 美術學係 副敎授) 지난 호 『서조(書祖) 채옹의 생애』에 이어 이번 호에는 채옹의 서예 미학을 소개한다. 서예사를 보면 중국 문자의 서사는 오랜 변천 과정을 거친 후 동한 말에 이르러 특별한 전..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5.12.11
서예용어 정리 1. 역입평출(逆入平出) 용필을 할 때 필봉이 거슬러 들어가 평평하게 나오는 것으로, 청나라 包世臣의 《藝舟雙楫》에 보인다. 포세신은 “붓대를 고정하고 필봉을 전환하면, 즉 필봉이 거슬러 들어가 평평하게 나오면 획의 팔면에 붓털의 힘이 이르지 않음이 없고, 이러한 뒤에야 비로소..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5.07.01
서예를 배우기 전 주의 할 점 書法(서법)은 선생에 의해서 배울 수도 있으나 그 精神(정신)과 興味(흥미)는 자기 스스로가 가져야 한다. 書를 法에 맞게 잘 쓰겠다는 참다운 精神이 없고 또한 흥미를 갖지 않으면 오랫동안 참고 견디지 못할 것이므로 글씨가 아무리 신묘함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참다운 글씨가 될 수 없..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5.03.09
書의 藝術性 書藝의 慨念 (서예의 개념) 書藝(서예)를 이미 형성된 글자를 쓰는 단순한 것으로 생각하기쉽다. 예로부터 전해지고 있는 만당(晩唐) 시대에 유공권(柳公權) 은 心正筆正 (심정필정)이라했다.즉 마음이 바르게 되어야 글씨가 바르게 써진다. 마른 대나무 筆管(필관)을 통하여 수많은 터럭..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5.02.26
[스크랩] 탁본의 아름다움 탁본의 아름다움 희재 한상봉 한국서예금석문화연구소장 탁본(拓本)은 탑본(榻本), 탑본(搭本), 사출(寫出)이라고도 하는데 금석에 새겨진 문자나 그림, 문양에 종이를 대고 찍어내는 것을 말한다. 탁본의 유래는 남북양조 시대부터, 또는 후한 시대 종이가 발명된 이후부터 시작된 것으..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5.01.29
낙관(落款)은 도장이 아니다 낙관(落款)은 도장이 아니다 <낙관(落款)이란 무엇이며 낙관과 인장(印章),인영(印影)은 무엇이 다른 것인가?> 雨頌 尹炳朝 (한국전각학연구회 감사) 서론 1. 낙관(落款)의 용어풀이 2. 개자원화보에 나타난 낙관의 정의 3. 낙관의 현대적 해석 4. 낙관의 발생과 변천 5. 낙관의 중요성 6. ..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4.10.02
서예로 찾은 우리 미학](22) 신라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서예로 찾은 우리 미학 - 신라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이동국 |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수석큐레이터 ㆍ깊은 신앙심과 수행 정진력이 깃든, 분업 통한 필사 “제가 세상에 살 때에 평상 아래 참기름을 묻어 두었고, 곱게 짠 베도 이불 사이에 감추어 두었습니다. 스님께서 부디 그 기름..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4.03.09
서예연구의 기초개념 5단계 서예연구의 기초개념을 5단계(問-勇-觀-感-思)로 설정해보았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기초적인 개념 세가지를 먼저 소개하고자 합니다. 問 모든 학문의 출발점은 문제제기로 부터 시작된다. 풀려고 하는 문제가 있어야 그에 따른 사고를 하게되고 해결이 이루어진다. 서예의 이론도 작품의 ..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4.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