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서예에 입문하기 나이가 점점 들어가니 고요하게 마음을 돌아보고 몸을 다스리는데 관심이 간다. 그 중에 좋은 방법이 서예이다. 기역자도 모르는 입장에서 우선 기본적인 지식을 모아 읽어보고 새기면서 서서히 임서도 해봐야겠다. 우선 서예기초입문 동영상 http://blog.naver.com/jch4512?Redirect=Log&logNo=201338859..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4.19
[스크랩] ?18. 운필의 기교 18. 운필의 기교 ‘추(推)ㆍ타(拖)ㆍ념(捻)ㆍ예(拽)’는 운필의 법칙으로 노조(盧肇)가 깨달아서 임온(林蘊)에게 전해 주었다. 남당에 이르러 이욱(李煜)은 집필법에서 오자결(五字訣) 이외에 ‘도(導)ㆍ송(送)’ 이 두 가지를 더 하였다. ‘도(導)’는 다섯째 손가락이 넷째 손가락을 오..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4.06
[스크랩] 문화예술백배즐기기(서예) 목 차 Ⅰ. 서예의 정의 Ⅱ. 서예의 특성 Ⅲ. 서예의 의의 Ⅳ. 서예의 기원 Ⅴ. 서예의 변천 Ⅵ.서체의 종류 1.갑 골 문〔甲骨文) 2. 금 문〔金 文〕 3. 소 전〔小篆〕 4. 예 서〔隸書〕 5. 해 서〔楷書〕 6. 행 서〔行書〕 7. 초 서〔草書〕 8. 한 글 Ⅶ. 서예의 장르 1. 전 각〔篆刻〕 2. 서 각〔書..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3.22
서예란 무엇인가? 동양 예술의 한 분야. 개요 김정희 /김정희가 종이 바탕에 먹으로쓴〈죽노지실 竹爐之室〉 동양의 독특한 필기도구인 붓을 사용하여 글씨를 심미적으로 서사(書寫)한 것으로 조선시대까지 서(書)로 불렸으나 일제시대에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서도(書道)로 잠시 지칭되다가 8·15..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1.12.30
[스크랩] 서예이론 (1) 필봉(筆鋒)이란 붓털 중에서 뾰쪽하고 약간 노르스름한 빛을 띠는 부분을 필봉(筆鋒)이라고 한다. 이외에 글자의 첫 시작 부분도 필봉이라고 한다. 붓을 움직일 때 붓의 뾰쪽한 부분을 글자의 중심에 오게 하여 글씨를 쓰는것을 중봉(中鋒)이라 하고,붓 끝을 감추어 모서리가 나오..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1.12.24
[스크랩] 글씨를 쓰는 것과 서예와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글씨를 쓰는 것과 서예와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 사람들은 글씨를 쓰는 것이 곧 서예라고 알고 있는데, 사실은 완전히 같은 종류의 것은 아니다. 간단히 말하면 글씨를 쓰는 것은 실용에 목적이 있는 것이고, 서예는 사람들에게 예술을 감상하게 하는 것이다. 서예는 실용..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1.12.20
* 한시와 평측(平仄) * 한시와 평측(平仄) (1) 한시의 운률(韻律)과 평측(平仄) 평측(平仄)이란 음의 고저를 말한다. 시(詩)에서 음의 고저가 바로 운률이다. 그래서 한시를 지을 때에는 음의 높낮이 즉 평측이 아름다운 운률이 되도록 글자를 선택해야 한다. 사성(四聲)에서 평성(平聲)은 낮은 소리, 상성(..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