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韓民國 서예 거장 소운 엄현섭 大韓民國 서예 거장 소운 엄현섭-1 김영재기자 大韓民國 예술원장 원장을 역임하신 故 김동리선생님과 樂善濟의 回顧에서 20世期의 激動期를 風靡하고 가신 朝鮮의 마지막 皇太后 英親王妃 方子 여사와 國際文化交流, ( 韓中日書藝文化交 ,韓日中書藝文化交流) 등 書道를 동양삼국 뿐 아.. 사진/동영상보기 2012.04.18
[스크랩] 한국의 아름다운 소리 ((한국의 아름다운 소리(사계))) 1. 고드름 낙수 소리 2. 얼음장 밑으로 물 흐르는 소리 3. 동굴 낙수 소리 4. 여름 폭포 소리 5. 몽돌 파도에 휩쓸리는 소리 6. 대나무 부딪히는 소리 7. 천둥 소리 8. 장마 비바람 소리 9. 우박 떨어지는 소리 10. 가시연꽃밭의 폭우 소리 11. 불어난 계곡물 .. 사진/동영상보기 2011.12.12
[스크랩] 전당시 4만여수 살펴보기 《全唐诗》 四万三千余首唐诗、两千五百唐诗诗人 上卷 中卷 下卷 第1卷 第2卷 第3卷 第4卷 第5卷 第6卷 第7卷 第8卷 第9卷 第10卷 第11卷 第12卷 第13卷 第14卷 第15卷 第16卷 第17卷 第18卷 第19卷 第20卷 第21卷 第22卷 第23卷 第24卷 第25卷 第26卷 第27卷 第28卷 第29卷 第30卷 .. 사진/동영상보기 2011.08.01
[스크랩] 답변입니다. 서체 - 한문서체의 시대별 변천사와 특징들 & 한글서체 한문서체의 변천사 : 전서→예서→해서→행서→초서(1)전서 : 갑골문이나 종정문등 고문에 속하는 모든 문자와 대전과 소전을 모두 가리킨다. 선의 굵기가 비슷하고 시작되는 부분과 끝 부분이 둥그스름하며, 특히 소전은 좌측과 우측이 대칭.. 사진/동영상보기 2011.07.30
[스크랩] 한자의 서체(書體) 1 - 甲骨文 : 원시 한자 한자의 서체(書體) 1 - 甲骨文 : 원시 한자 현재 한자의 원형으로 정의 내리고 있는 갑골문(甲骨文)은 '甲'과 '骨'에 회화적 요소를 지닌 표시를 기록한 것이 유적에서 발굴됨으로 인해 문자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고, 은(殷)나라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갑골문은 한자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 사진/동영상보기 2011.07.30
[스크랩] 한자의 서체(書體) 5 - 楷書 : 정서(正書) 한자의 서체(書體) 5 - 楷書 : 정서(正書) 서체의 변천사에서 해서체(楷書體)부터는 문자학적 논의보다는 예술적 논의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정서(正書)나 진서(眞書)의 명칭으로도 불리는 해서체는 현재까지 서예(書藝)의 기본 교습 서체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문자학적 논.. 사진/동영상보기 2011.07.30
[스크랩] 한자의 서체(書體) 4 - 隸書 한자의 서체(書體) 4 - 隸書 고문자(古文字)들과는 다른 차원의 획기적으로 새로운 한자의 자형(字形)이 성립된 예서(隸書)는 진(秦)나라의 군현제(郡縣制) 실시라는 정치적인 배경이 이끌어낸 결과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행정적 실용성이 중시되어 보다 빠르고 쉽게 문자를 쓰기 위해 고안되었던 것입.. 사진/동영상보기 2011.07.30
[스크랩] 서예의기초 이론 제2장 기초이론 1. 서예란? 글씨등을 소재로 서사(書寫)하여 표현하는 조형적 선(線)예술이다. 2. 준비물 (1) 붓-붓털의 직경이 최소한 1.5 - 2.0Cm 정도의 것이 연습용으로 적합함. (2) 벼루-적어도 가로 15Cm,세로 24Cm,정도는 되어야 편리함. (3) 먹-중형 (4) 종이-연습용 화선지(신문지 등은 적절치 아니함.) (5) .. 사진/동영상보기 2011.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