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서예 사상 가장 뛰어난 행서로는 왕희지의 <난정서>, 안진경의 <제질문고>, 소식의 <황주한식시권>을 꼽습니다.
후세 사람들은 위 세사람의 행서를 천하제1, 2, 3 행서라고 합니다.
지금부터 천하 최고의 행서를 감상하겠습니다.
1. 천하 제1 행서 왕희지의 <난정서>
<난정서>는 왕희지의 걸작 중의 걸작으로 꼽히는 행서입니다.
동진 영화 9년(기원353년) 3월 3일, 왕희지는 산음(山陰)에 거주하는 일부 문사들과 함께 난정으로 가서 수계(修禊)를 거행했습니다. 그날 그곳에 참가한 사람들은 흥이 일어 많은 시편을 써서 하나로 묶었는데, <난정서>는 그 시집의 맨 앞에 왕희지가 쓴 서문의 원고입니다.
왕희지의 서문은 당시 남방사족계층이 신봉하던 노장사상의 영향을 깊이 받았고, 문학사상으로도 일정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문은 모두 28행, 324자인데, 장법, 결구, 필법이 모두 완벽하여, 후세 사람들은 "우군(왕희지)의 자체는 옛법을 한번 바꾸었고, 그의 웅혼하고 빼어난 기운은 자연스럽다. 그래서 고금이래로 그의 글을 모범으로 삼는다"며 천하제1의 행서로 추앙하고 있습니다.
<난정서>에 관하여 여러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있는데, 당시 왕희지는 이 글을 쓰고 난 후에 자기의 작품이 매우 마음에 들어서, 다시 몇 편을 써보았는데, 모두 그 경지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천고의 걸작을 가보로 후손에게 전해주었는데, 나중에 당태종이 소익을 파견하여 <난정서>를 빼앗았다고 합니다.
당태종은 왕희지의 서법을 추앙해서 신하 조모, 풍승소 등으로 하여금 임모본을 제작하게 하였는데, 당태종은 임모본이나 석각탁본을 일부 황족이나 총신에게 하사하는 것을 좋아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당시에 진본보다 한 단계 낮은 임모본도 낙양에서는 대단한 인기가 있었다고 합니다.
전설에 의하면 당태종이 죽을 때 진품을 순장품으로 넣어 지금 전해지는 것은 거의 임모본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오늘날 전해지는 소위 <난정서>의 당나라 때 임모본이나 석각탁본도 매우 진귀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난정서>를 왕희지가 쓴 것인지에 대해서도 논쟁이 많고, <난정서>에 대한 관련 자료도 많이 전해지고 있으며,
위사진의 글씨는 당나라 풍승소가 쓴 임모본으로 <신룡반인본난정서>라고 일컫는데, 이는 글씨에 "신룡"이라는 인장이 절반만 보이기 때문입니다.
비록 임모본이지만 왕희지의 서법을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2. 천하 제2행서 안진경의 <제질문고>
이 작품은 세로 28.2센티미터, 가로 72.3센티미터, 25행, 230자로써, 안진경이 자기의 조카를 위해서 쓴 하나의 제문의 초고입니다.
안진경의 조카 안계명(安季明)이 안록산의 반군에 의하여 피살당하자, 안진경은 극도로 비분한 심정으로 정서를 가누지 못한 상태에서 썼으므로 여러군데 잘못 쓴 곳도 있고, 덮어 쓴 흔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자연스러운 묘가 잘 드러나 있어, 높이 평가 받고 있는 겁니다.
원나라때의 장경안(張敬晏)은 발문에서
"고(告)는 서간(書簡)만 못하고, 서간은 기초(起草)만 못하다. 고라는 것은 관청에서 만드는 것으로 해서도 단정하지만 결국은 규범에 얽매이는 것이다. 서간은 일시의 흥이 일어 쓰는 것이므로 방종할 수 있다. 그런데, 기초는 또한 무심에서 나온 것이고, 그 손과 마음을 모두 잊은 상태에서 쓰게 되므로, 진정한 묘함을 여기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원나라의 선우추(鮮于樞)는 이 첩을 "천하제이행서(天下第二行書)"로 꼽았습니다.
이 첩의 진적에는 붓이 쉰 곳과 끈 곳이 역력히 드러나므로 붓놀림의 과정이나 필봉변환의 묘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행초서를 공부하는 사람에게는 아주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원적은 대만의 고궁박물원에 있습니다.
3. 천하 제3 행서 소동파의 <황주한식시첩>
천하 제3행서는 지본(紙本)으로 25행, 129자인 소동파의 <황주한식시권>을 꼽습니다.
이 시는 소동파가 황주에 좌천된 후 3년째 되던 해의 한식날 인생에 대하여 느낌을 적은 시로써 소동파 행서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당시 소동파의 슬프고 고독한 심정이 잘 드러나 있는 시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훗날 황정견은 이 시의 뒤에 쓴 발문에서,
"이 글은 안로공, 양소사, 이서태의 필의를 겸비했고, 소동파에게 다시 써보라고 해도 이에 미치지 못할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시 속에서는 음울한 것들 예를 들어 소옥, 공포, 오함지, 분묘등이 나오는데, 이는 당시 시운이 따르지 않아 황주에 유배되어 있는 소동파의 암울한 심경, 침울하고 처량한 경지가 드러나 있다고 합니다.
여기에 쓴 두 수의 시는 소동파의 3천편의 시중에서 수준 높은 작품은 아니지만, 그래도 작자의 또다른 예술형식, 즉 서법의 측면에서 볼 때 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동기창도 발문을 통해서 "내가 평생에 걸쳐 동파선생의 진적을 30여권이상 보았으나, 이것이 최고이다"라고 한 바 있습니다.
원나라 때의 선우추는 이것을 왕희지의 난정서, 안진경의 제질고에 이은 천하제삼행서라고 평하였던 겁니다.
'한문서체 > 행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준길 행초 서증손병화 (0) | 2014.09.08 |
---|---|
[스크랩] 집자성교서 임서의 효율적 방법 (1) (0) | 2013.12.28 |
행서의 정의 (0) | 2013.08.07 |
서예작품감상 (0) | 2013.07.29 |
행서묵적(行書墨迹). 안진경(顔眞卿)의 작품 (0) | 201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