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楷書 쓰는 법 <書藝技法> - 대만 서예가 杜忠誥(두충고) 저, 대만사범대학 출신 정철재 역 서예의 精髓는 ‘붓놀림(用筆, 運筆)’에 있다. * 비유 1. 맹자 권7 離婁篇(이루편) 공수자라는 재주 있는 사람 - 規矩(규구, 規는 원을 그리는 제구, 矩는 방형을 그리는 자)가 있어야 좋은 물건을 만들 수 있다.. 한문서체/해서 2012.09.03
행서감상 경봉스님의 글 입니다. 작품이 무척 좋네요. 서체는 행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몇 천년간의 한자(漢字)의 역사를 볼 때 다양한 문자(文字) 형태를 가지고 발전되어 왔지만, 역시 문자가 지닌 기본적인 특징인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는 단순한 자형(字形)과 편리한 필기(筆記)의 가치로 귀결.. 한문서체/행서 2012.08.27
[스크랩] 중국의 서화 필법과 묵법은 대립적이면서 보완 관계. 중국화에서 위작과 모작이 많은 이유...선지(종이)는 반드시 먼저 아주 얇은 한 층을 만든 담은 한 층씩 덧씌우는데, 일반적인 것은 4~5층이지만 10층이 넘은 것도 있어서. 한 장의 서화를 몇개로 떼어 낼 수 있다. 단, 떼어내는 층이 많아질수록 필묵은 엷어진다. 위조자가 떼어낸 후, 그만.. 한문서체/행서 2012.08.25
김생에서 추사까지 예술의 전당-서예박물관 기획전시-김생에서 추사까지 서예박물관-김생에서 추사까지 예술의 전당-서예박물관 기획전시-김생에서 추사까지 예술의전당과 경상북도는 해동서성 김생(711~791이후) 탄생 13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으로 <필신 - 김생에서 추사까지, 한국서예걸작 30>을 2011.. 한문서체/행서 2012.08.24
毛澤東,沁園春(심원춘) 雪(설) 毛澤東,沁園春(심원춘) 雪(설)행초서/춘강 서 沁園春(심원춘) 雪(설) 毛澤東(모택동) 한 시 산책 沁園春(심원춘) 雪(설) 北國風光(북국풍광):북국의 풍광 千里氷封:(천리빙봉):천리에 얼음 덮이고 萬里雪飄(만리설표):만리에 눈 날리네 望長城內外(망장성내외):바라보니 장성 안팎은 惟餘莽.. 한문서체/행서 2012.08.23
[스크랩] 청명초서 明淸 草書 명대는 복고시대 였고 문예사상이 비교적 활기를 띤 시대였다. 서예 상에서 말한다면, 조정의 여러 황제들이 모두 서예를 좋아하였는데, 그중 成祖 朱&#26851;는 일찍이 "이부가 선비 중에서 선발한 능서자를 지도하고, 한림에 예치한 녹미와 녹봉을 주어, 그들로 하여금 그 능.. 한문서체/초서 2012.07.10
[스크랩] 왕희지의 초결가 초서체 학습의 교과서라고 할 수 있는 <왕희지의 초결가>를 올립니다. 이 초결가만 잘 공부해도 초서의 절반을 학습했다고 할 만치 초서공부의 요체를 알기쉽게 오언으로 100개의 시가의 형태로 엮은 고전입니다. 여러 종류의 판본이 있으나 그 중에서도 尙古山房本이 가장 유명하므.. 한문서체/초서 2012.06.18
[스크랩] 중국서법가 행서 &#39118;&#25995;&#35770;&#20070; 황돈 선생 2006년 월간지 '서예문화'에 중국의 서예가를 활발히 소개한 적이 있다. 석사를 마치면서 2006년초에 황돈선생님을 찾아 뵌 적이 있었다. 2005년에는 남경에 직접 찾아가 만나뵈었고, 2006년에는 선생님이 산동으로 오셔서 찾아뵈었다. 처음 이 .. 한문서체/행서 2012.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