推句는 중국의 名詩와 우리나라 명현들의 주옥같은 오언절구 및 율시 중에서 뛰어난 시구를 발췌하여 모아 엮은 책입니다.
옛 서당에서 四字小學을 통해 孝와 공손과 충성과 믿음을 공부한 후 학동들이 本書에서 詩文의 심오함을 깨우치도록 했던
책입니다.
모든 구문이 오언절구의 상대구로 되어 있어 한문을 익힘은 물론 한시 감상으로 대자연의 정서를 느끼고 사고력 및 시작문, 정서 개발에 많은 보탬이 될 수 있는 책입니다.
같은 주제별로 엮었기 때문에 이해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이 책의 구성은
①먼저 본문을 싣고
②음을 달았으며
③해석을 쓴 후
④한자의 음과 훈을 달았습니다.
⑤해석에 어려운 부분을 보충 설명을 해 두었습니다.
먼저 한자의 음과 훈을 여러 번 반복하여 읽고 모르는 한자의 음과 훈을 익힌 후 음을 읽고 해석을 읽으십시오.
한자 풀이는 형성문자와 회의 문자의 경우 분해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습니다.
1) 제목 : 사계절에 관한 주제
⊙ 天 高 日 月 明 이요 地 厚 草 木 生 이라
(천 고 일 월 명 이요 지 후 초 목 생 이로다)
하늘이 높으니 해와 달이 밝고 땅이 두터우니 풀과 나무가 나도다.
⊙ 春 夏 秋 冬 節 이요 東 西 南 北 方 을
( 춘 하 추 동 절 이요 동 서 남 북 방 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은 계절이고 동쪽 서쪽 남쪽 북쪽은 방위로다.
春 봄 춘 夏 여름 하 節 절개 절 秋 가을 추 : (禾+火=秋 벼가 익는 계절이므로 가을)
東 동녘 동 : 日+木= 東 해가 동쪽의 나무에서 걸쳐 올라오는 듯 하다.
節 절개 절 : 竹+卽=節 대나무에는 마디가 있다 해서 마디절
대나무는 사계절 변하지 아니하므로 절개를 나타내서 절개절
⊙ 春 來 梨 花 白 이요 夏 至 樹 葉 靑 을
( 춘 래 이 화 백 이요 하 지 수 엽 청 을)
봄이 오니 배꽃이 희고 여름이 이르니 나뭇잎이 푸르도다.
樹 나무 수 梨 배 리 : 利(이로울 리)음+木(나무 목)뜻=梨(상형문자)
葉 잎 엽 : 草(풀 초)뜻+世(세상 세)+木=葉
來 올 래 : 木 +人+人 = 來 (회의문자) 사람이 나무사이에서 오는 모양
⊙ 秋 凉 黃 菊 發 이요 冬 寒 白 雪 來 를
( 추 량 황 국 발 이요 동 한 백 설 래 를)
가을이 서늘하니 누런 국화가 피고 겨울이 추우니 흰눈이 오도다.
黃누를 황 發필 발 寒찰 한 凉서늘할 량 : ?(얼음 빙)뜻+京=凉 菊국화 국 : ?(풀 초)뜻+?=菊
⊙ 春 作 四 時 首 요 人 爲 萬 物 靈 이로다
( 춘 작 사 시 수 요 인 위 만 물 령 이로다)
봄은 사계절의 머리이고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로다
靈 신령 령
⊙ 山 色 春 來 矣 요 溪 聲 雨 過 耶 로다
( 산 색 춘 래 의 요 계 성 우 과 야 로다)
산 빛을 보니 봄이 왔나 하고 계곡물 소리에 비가 지나갔나 보다
矣 어조사 의 溪 시내 계 聲 소리 성 耶 어조사 야 (의문조사)
⊙ 東 西 日 月 門 이요. 南 北 鴻 雁 路 를
( 동 서 일 월 문 이요. 남 북 홍 안 로 를)
동쪽과 서쪽은 해와 달의 문이고 남쪽과 북쪽은 기러기의 길이로다
雁 기러기 안 鴻 큰기러기 홍: 水(물 수)뜻+工+鳥(새 조)뜻=鴻 물에서 사는 새란 뜻
路 길 로 : 足(발 족)뜻+各(각각 각)뜻=路 (회의문자) 여러 사람이 각각 다니는 길
凉 서늘할 량 : ?(얼음 빙) 뜻+京=凉
⊙ 桃 李 千 機 錦 이요. 江 山 一 畵 屛 을
(도 리 천 기 금 이요. 강 산 일 화 병 을)
복숭아와 자두는 천 베틀의 비단이고 강과 산은 한 그림의 병풍이로다.
李 오얏(자두) 리 機 베틀 기 畵 그림 화 桃 복숭아 도 : 木(나무 목)뜻+兆=桃 (형성문자)
★ 挑돋을도, 逃 도망할도
機 기계 기 : 木(나무 목)뜻+幾(몇 기)=機 ★ 나무로 만든 베틀기계
錦 비단 금 :金(쇠 금)음+帛(비단 백)=錦 (형성문자)
屛 병풍 병 : 尸+幷(아우를 병)음=屛 (형성문자)
⊙ 歲 去 人 頭 白 이요 秋 來 樹 葉 黃 을
(세 거 인 두 백 이요 추 래 수 엽 황 을 )
해가 감에 사람의 머리가 희어지고 가을이 옴에 나뭇잎이 누렇도다
歲 해 세 . 세월을 말함 頭 머리 두 :豆(콩 두)음+頁(머리 혈)뜻=頭 (형성문자)
來 올 래 : 木 +人+人 = 來 (회의문자) 사람이 나무사이에 오는 모양
⊙ 碧 澗 日 千里 요 蒼 崖 無 古 今 이로다
( 벽간 일 천 리 요 창 애 무 고 금 이로다)
푸른 산골물에서는 해가 천리에 있고 푸른 언덕은 예나 지금이나 같도다
澗 산골물 간 崖 언덕 애
⊙ 花 開 昨 夜 雨 요 花 落 今 朝 風 이라.
(화 개 작 야 우 요 화 락 금 조 풍 이라.)
꽃이 어젯밤 비에 피더니 오늘 아침 바람에 떨어 지도다.
⊙ 春 北 秋 南 雁 이요 朝 西 暮 冬 虹 을
(춘 북 추 남 안 이요 조 서 모 동 홍 을)
봄에는북쪽으로 가을에는 남쪽으로 가는 기러기이고 아침에는서쪽에 저물면 동쪽에 뜨는 무지개로다
暮 저물 모 : 莫(없을막)+日(해일)=暮 (회의문자) 해가 없어지므로 저물다는 뜻
★ 模 본뜰 모 謨 꾀할 모
虹 무지개 홍
⊙ 明 月 照 深 池 요 秋 葉 下 秋 庭 을
( 명 월 조 심 지 요 추 엽 하 추 정 을)
밝은 달은 깊은 못에 비치고 가을 잎은 가을 뜰에 내리도다.
深 깊을 심 池 못 지 照 비칠 조 : 日(해일)+召(부를소)+火(불화)=照
★ 昭밝을소 召부를소
庭 뜰 정 : ?(집엄)+廷(조정정)=庭(뜰 정)
⊙ 落 葉 鳴 沙 逕 이요 寒 流 遠 秋 山 이로다.
(낙 엽 명 사 경 이요 한 류 원 추 산 이로다)
낙엽은 모랫길에서 소리를 내고 찬물은 가을 산에서 멀어지도다
鳴 울 명 沙 모래 사 逕 좁은길 경
⊙ 秋 葉 霜 前 落 이요 春 花 雨 後 紅 을
(추 엽 상 전 락 이요 춘 화 우 후 홍 을)
가을 잎은 서리 앞에 떨어지고 봄꽃은 비온 뒤에 붉도다.
後 뒤 후 紅 붉을 홍 霜 서리 상 : 雨(비 우)뜻+相(서로 상)음=霜
落 떨어질 락 : ?(풀 초)뜻+洛(물이름 락)음=落 (형성문자)
⊙ 花 發 千 山 紅 이요 葉 生 萬 樹 靑 을
(화 발 천 산 홍 이요 엽 생 만 수 청 을)
꽃이 피니 천 산이 붉고 잎이 나오니 만 산이 파리하도다
發 필 발 紅 붉을 홍 葉 잎 엽 萬 일만 만 樹 나무 수
⊙ 山 深 然 後 寺 요 花 落 以 前 春 을
( 산 심 연 후 사 요 화 락 이 전 춘 을)
산이 깊은 연후에 절이고 꽃이 떨어지기 이전에 봄이로다.
然 그러할 연 寺 절 사 落 떨어질 락 : ?(풀 초)뜻+洛( 물이름 락)음=落 (형성문자)
⊙ 春 水 滿 四 澤 이요 夏 雲 多 奇 峰 을
( 춘 수 만 사 택 이요 하 운 다 기 봉 을)
봄물은 사방 못에 가득하고 여름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에 많도다.
春水 : 겨우내내 얼었던 눈 녹은 물과 얼음이 녹은 물
滿 찰 만 澤 못 택 奇 기이할 기 雲 구름 운 : 雨(뜻)+云=雲 (형성문자)
峰 봉우리 봉 : 山+奉(받들 봉)=峰 (형성문자)
⊙ 秋 月 揚 明 輝 이요 冬 嶺 秀 孤 松 을
(추 월 양 명 휘 이요 동 령 수 고 송 을)
가을달은 밝게 빛남을 드날리고 겨울 고개에 외로운 소나무가 빼어나도다.
孤 외로울 고 松 소나무 송 揚 드날릴 양 : 手 +榮(볕 양의 古字) = 揚(형성문자)
★ 陽볕양 楊버들양
輝 빛날 휘 : 光(빛 광)뜻 +軍(군사 군)음 =輝(형성문자) ★揮 가리킬 휘
嶺 고래 령 : 山+領=嶺(형성문자) ★令 명령 령 領 거느릴 령
⊙ 氷 解 魚 初 躍 이요 風 和 雁 欲 歸 를
(빙 해 어 초 약 이요 풍 화 안 욕 귀 를)
얼음이 풀림에 물고기가 처음 뛰고 바람이 화창함에 기러기가 돌아가고자 하도다.
解 풀 해 初 처음 초 躍 뛸 약 歸 돌아갈 귀
歸 : 阜+ 止+ ? = 歸 언덕에 있는 아내가 기다리는 집으로 돌아감
婦= 女+? ( 여자가 비를 들고 집에서 살림하므로 아내 부)
⊙ 雨 意 雲 端 黑 이요 春 心 木 末 靑 을
(우 의 운 단 흑 이요 춘 심 목 말 청 을)
비의 뜻은 구름 끝이 검고 봄의 마음은 나무 끝이 푸르도다.
端 끝 단. 단정할 단 黑 검을 흑 雲 구름 운 : 雨(뜻)+云=雲 (형성문자)
⊙ 雨 積 千 江 肥 요 葉 落 萬 山 瘦 를
(우 적 천 강 비 요 엽 락 만 산 수 를)
비가 쌓이니 천 강이 살찌고 잎이 떨어지니 만산이 파리하도다.
積 쌓을 적 積載(적재) 散積(산적) 肥 살찔 비 肥滿(비만) 肥肉(비육)
瘦 파리할 수 : ?+未=瘦 (형성문자) 瘦瘠(수척) ★搜 찾을 수
落 떨어질 락 : ?(풀 초)뜻+洛(물이름 락)음=落 (형성문자)
⊙ 燕 知 社 日 去 요 菊 爲 重 陽 開 를
(연 지 사 일 거 요 국 위 중 양 개 를)
제비는 사일에 갈 줄 알고 국화는 중양절에 피게 되도다.
社日 : 추분으로부터 약 50일이 지난 후의 (천간) 戊일에 해당하는 날
중양절 : 음력으로 9월9일을 말함. 중구절이라고도함
燕 제비 연 重 거듭 중, 무거울 중 菊 국화 국 : ? + ?(음) =菊 (형성문자)
陽 볕 양 ★楊버들양 揚드날릴양
開 열 개 : 문의 빗장을 여는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자 ★閉 닫을폐
歸 : 阜+ 止+ ?(비추) = 歸 언덕에 있는 집으로 돌아감
婦(아내부)= 女+?(비추) (여자가 비를 들고 집에서 살림하므로 아내부)
⊙ 春 意 無 分 別 이요 人 情 有 淺 深 을
(춘 의 무 분 별 이요 인 정 유 천 심 을)
봄의 뜻은 분별이 없고 사람의 인정은 얕음과 깊음이 있도다.
淺 얕을 천 : 水 + 淺 = 淺 (형성문자) ★ 踐 밟을 천 賤 천할 천
深 깊을 심 深思(심사) 深淵(심연) 水深(수심)
⊙ 雪 水 下 春 江 이요 疎 雨 落 井 梧 를
(설 수 하 춘 강 이요 소 우 낙 정 오 를)
눈 녹은 물은 봄 강에 내려오고 성긴비는 우물과 오동나무에 떨어지도다.
雪 눈 설 : 雨+ ?(또우. 손을 나타냄)= 雪
疎 성길 소 : 드물다. 성긴비는 굵게 드물게 떨어지는 비를 말함
井 우물 정 : 우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자.
梧 오동 오 : 木 + 吾 = 梧 梧桐(오동)
落 떨어질 락 : ?(풀초)뜻+洛(물이름락)음=落 (형성문자)
2) 제목 : 달에 관한 주제
⊙ 東 嶺 千 重 出 이요 南 湖 一 片 月 이로다.
( 동 령 천 중 출 이요 남 호 일 편 월 이로다)
동쪽 고개에 달이 천 번이나 거듭 나오고 남쪽 호수에 한 조각의 달이로다
嶺 고개 령 湖 호수 호
⊙ 明 月 松 間 照 요 淸 泉 石 上 流 로다
(명 월 송 간 조 요 청 천 석 상 류 로다 )
밝은 달은 소나무 사이에 비치고 맑은 샘은 돌 위를 흐르도다.
⊙ 山 吐 孤 輪 月 이요 江 含 萬 里 風 이로다
(산 토 고 륜 월 이요 강 함 만 리 풍 이로다)
산은 둥근 달을 토해내고 강은 만리의 바람을 머금도다
吐 토할 토 孤 외로울 고 輪 차바퀴 륜 含 머금을 함
⊙ 月 爲 大 將 軍 이요 星 作 百 萬 師 로다
(월 위 대 장 군 이요 성 작 백 만 사 로다)
달은 대장군이 되고 별은 백만의 군사가 되도다.
⊙ 明 月 隱 高 樹 요 長 河 沒 曉 天 이로다
(명 월 은 고 수 요 장 하 몰 효 천 이로다)
밝은 달은 높은 나무에 숨고 긴 강에 새벽 하늘이 잠기도다.
隱 숨을 은 沒 빠질 몰
3)제목 : 해, 달, 바람, 안개에 관한 주제
⊙ 日 出 宿 霧 開 요 月 出 天 下 白 을
(일 출 숙 무 개 요 월 출 천 하 백 을)
해가 나오니 잠자던 안개가 개고 달이 나오니 천하가 밝도다.
宿 잠잘 숙 宿食(숙식) 宿直(숙직) 宿命(숙명)
霧 안개 무 霧散무산
⊙ 月 作 雲 間 鏡 이요 風 爲 竹 裡 琴 을
(월 작 운 간 경 이요 풍 위 죽 리 금 을 )
달은 구름 사이의 거울이 되고 바람은 대나무 속의 거문고가 되도다.
裡 속 리 : 衣(뜻) +里 = 裡(형성문자) 裏와 같이 쓰인다.
琴 거문고 금 : 玉 +玉 + 今 =琴 (형성문자)
雲 구름 운 : 雨(뜻)+云=雲 (형성문자) 鏡 거울 경 : 金 + 竟(마침내경) = 鏡 (형성문자)
⊙ 月 移 山 影 改 요 日 下 樓 痕 消 를
(월 이 산 영 개 요 일 하 루 흔 소 를)
달이 옮기니 산의 그림자가 고치고 해가 지니 누각의 흔적이 사라지도다.
影 그림자 영 : 景 + ? = 影
樓 누각 루 : 木 + 婁 = 樓 (형성문자) 樓閣(누각) ★屢 자주루
痕 흔적 흔 : ?(병들녘) + 艮 =痕 병이 나은 후 생긴 흔적
⊙ 月 出 天 開 眼 이요 山 高 地 擧 頭 를
(월 출 천 개 안 이요 산 고 지 거 두 를)
달이 나오니 하늘이 눈을 뜬 것 같고 산이 높으니 땅이 머리를 든 것 같도다.
眼 눈 안 : 目 + 艮(머무를 간) = 眼 (회의문자)
擧 들 거 : 與 + 手 = 擧 (회의문자) 손을 맞잡고 들어올림
頭 머리 두 :豆(콩 두)음+頁(머리 혈)뜻=頭 (형성문자)
⊙ 林 風 凉 不 絶 이요 山 月 曉 仍 明 을
(임 풍 양 부 절 이요 산 월 효 잉 명 을)
숲의 바람은 서늘함이 끊어지지 아니하고 산의 달은 새벽에 인하여 밝도다.
凉 서늘할 량 絶 끊을 절 仍 인할 인
曉 새벽 효 : 日 + 堯(빛날 요) = 曉 새벽이 되어 해가 빛남
⊙ 堯水 月 在 手 요 弄 花 香 滿 衣 를
(국 수 월 재 수 요 농 화 향 만 의 를)
물을 움켜쥠에 달이 손안에 있고 꽃을 희롱함에 향기가 옷에 가득하도다.
堯 움킬 국 弄 희롱할 롱 : 玉 + ?(받쳐들 공) = 弄 구슬을 손에 들고 논다.
滿 찰 만 滿面(만면) 滿場(만장) 滿開(만개) 充滿(충만)
⊙ 風 驅 群 飛 雁 이요 月 送 獨 去 舟 를
(풍 구 군 비 안 이요 월 송 독 거 주 를)
바람은 무리 지어 날아가는 기러기를 몰고 가고 달은 홀로 가는 배를 보내 도다.
驅 몰 구 : 馬 + 區(나눌구) = 驅 (형성문자)
群 무리 군 : 君 + 羊 = 群(형성문자) 양은 떼지어 다니므로
雁 기러기 안 送 보낼 송 舟 배 주
⊙ 日 暮 鷄 登 柾 요 天 寒 鳥 入 畯 을
(일 모 계 등 시 요 천 한 조 입 첨 을)
해가 저무니 닭이 홰에 오르고 하늘이 추우니 새가 처마에 들어 오도다.
柾 홰시( 긴 장대를 걸쳐놓아 닭이 쉴 수 있게 함) 畯 처마 첨
⊙ 月 爲 無 柄 扇 이요 星 作 絶 纓 珠 를
(월 위 무 병 선 이요 성 작 절 영 주 를)
달은 자루 없는 부채가 되고 별은 끈이 끊어진 구슬이 되도다.
柄 자루 병 : 木 + 丙 = 柄 (형성문자) 扇 부채 선 纓 끈 영 珠 구슬 주 : 玉 + 朱 = 珠 (형성문자)
⊙ 月 到 梧 桐 上 이요 風 來 楊 柳 邊 을
(월 도 오 동 상 이요 풍 래 양 류 변 을)
달은 오동나무 위에 이르고 바람은 버드나무 가에 오도다.
梧 오동나무 오 : 木 + 吾(나오) = 梧 (형성문자) 桐 오동나무 동 : 木 + 同 =桐 (형성문자)
楊 버들 양 柳 버들 류 邊 가 변
⊙ 白 雲 山 上 蓋 요 明 月 水 中 珠 를
(백 운 산 상 개 요 명 월 수 중 주 를)
흰 구름은 산 의 덮개이고 밝은 달은 물 가운데 구슬이로다.
蓋 덮을 개 覆蓋(복개) 蓋然性(개연성) 蓋瓦(개와)
珠 구슬 주 : 玉 + 朱(붉을 주) =珠 (형성문자) 雲 구름 운 : 雨(뜻)+云=雲 (형성문자)
⊙ 夜 來 家 家 月 이요 春 到 處 處 花 를
(야 래 가 가 월 이요 춘 도 처 처 화 를)
밤이 옴에 집집마다 달이고 봄이 이름에 곳곳마다 꽃이로다.
處 곳 처
⊙ 野 廣 天 低 樹 요 江 淸 月 近 人 을
(야 광 천 저 수 요 강 청 월 근 인 을)
들이 넓으니 하늘이 나무에 나직하고 강이 맑으니 달이 사람에 가깝도다.
野 들 야 樹 나무 수 低 낮을 저 ★ 底 밑 저
⊙ 初 月 將 軍 弓 이요 流 星 壯 士 矢 를
( 초 월 장 군 궁 이요 유 성 장 사 矢 를) 실
초승달은 장군의 활이고 흐르는 별은 씩씩한 장군의 화살이로다.
初 처음 초 將 장사 장 壯 씩씩할 장 矢 화살 시 ★ 失 잃을 실
⊙ 耕 田 埋 春 色 이요 汲 水 斗 月 光 을
( 경 전 매 춘 색 이요 급 수 두 월 광 을)
밭을 가니 봄빛을 묻고 물을 기르니 달빛을 말질 하도다.
耕 밭갈 경 耕作(경작)
埋 묻을 매 埋沒(매몰) 埋葬(매장) 汲 물길을 급 : 水 + 及 = 汲 (형성문자)
⊙ 山 影 推 不 出 이요 月 光 掃 還 生 을
( 산 영 추 불 출 이요 월 광 소 환 생 을)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아니하고 달빛은 쓸어도 도로 나도다.
影 그림자 영 還 도로 환
⊙ 花 落 憐 不 掃 요 月 明 愛 無 眼 을
(화 락 연 불 소 요 월 명 애 무 면 을)
꽃이 떨어지니 불쌍하여 쓸지 아니하고 달이 밝으니 사랑하여 잠잘 수 없도다.
憐 불쌍히여길 련 愛 사랑 애
落 떨어질 락 : 艸(풀 초)뜻+洛(물이름락)음=落 (형성문자)
⊙ 洞 深 花 意 懶 이요 山 疊 水 聲 幽 를
(동 심 화 의 라 이요 산 첩 수 성 유 를)
마을이 깊으니 꽃의 뜻이 게으르고 산이 쌓이니 물의 소리가 그윽하도다,
懶 게으를라 疊 쌓일 첩 幽 그윽할 유
'서예입문 > 한문자료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옹야편 (0) | 2015.03.23 |
---|---|
[스크랩] 한문 한시 자료해설 대모음 (0) | 2014.06.27 |
[스크랩] ■가담항설 街談巷說 (0) | 2013.12.07 |
오언절구 (0) | 2013.10.25 |
등관작루 (0) | 201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