推句 推句는 중국의 名詩와 우리나라 명현들의 주옥같은 오언절구 및 율시 중에서 뛰어난 시구를 발췌하여 모아 엮은 책입니다. 옛 서당에서 四字小學을 통해 孝와 공손과 충성과 믿음을 공부한 후 학동들이 本書에서 詩文의 심오함을 깨우치도록 했던 책입니다. 모든 구문이 오언절구의 상.. 서예입문/한문자료상식 2014.06.02
낙관 ■ 낙관(落款)이란 ■ 출처 - http://artsquare.co.kr 참조 낙관이란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준말로 '관서'라고도 한다. 동양 예술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조형 세계로 작품을 완성하고 화제를 쓰고 아호, 성명, 연월일 등을 쓰고 도장을 찍는 일 모두를 말한다.낙관은 그린 사람이 누구이고 언.. 서예입문/서예자료 2014.05.27
서예의 본질 書藝의 慨念 (서예의 개념) 書藝(서예)를 이미 형성된 글자를 쓰는 단순한 것으로 생각하기쉽다. 예로부터 전해지고 있는 만당(晩唐) 시대에 유공권(柳公權) 은 心正筆正 (심정필정)이라했다.즉 마음이 바르게 되어야 글씨가 바르게 써진다. 마른 대나무 筆管(필관)을 통하여 수많은 터럭.. 서예입문/서예자료 2014.03.22
서예의 본질 書藝의 慨念 (서예의 개념) 書藝(서예)를 이미 형성된 글자를 쓰는 단순한 것으로 생각하기쉽다. 예로부터 전해지고 있는 만당(晩唐) 시대에 유공권(柳公權) 은 心正筆正 (심정필정)이라했다.즉 마음이 바르게 되어야 글씨가 바르게 써진다. 마른 대나무 筆管(필관)을 통하여 수많은 터럭.. 서예입문/서예자료 2014.03.22
서예로 찾은 우리 미학](22) 신라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서예로 찾은 우리 미학 - 신라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이동국 |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수석큐레이터 ㆍ깊은 신앙심과 수행 정진력이 깃든, 분업 통한 필사 “제가 세상에 살 때에 평상 아래 참기름을 묻어 두었고, 곱게 짠 베도 이불 사이에 감추어 두었습니다. 스님께서 부디 그 기름..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4.03.09
[스크랩] 조선왕조 12명의 임금님 친필서예 조선임금 친필들 - 조선왕조 12명의 임금님들의 친필 모음 - ▼ 제 5 대 문종 임금님의 글씨 ▼ 제 7 대 세조 임금님의 글씨 ▼ 제 9 대 성종 임금님의 글씨 遠上寒山 石徑斜 멀리 가을 산을 오르니 돌길이 비껴 있고 白雲深處 有人家 흰 구름 깊은 곳에 인가가 있구나 停車坐愛 楓林晩 수레 .. 서예입문/서예자료 2014.02.25
글씨를 쓰는 것과 서예와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 글씨를 쓰는 것과 서예와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 사람들은 글씨를 쓰는 것이 곧 서예라고 알고 있는데, 사실은 완전히 같은 종류의 것은 아니다. 간단히 말하면 글씨를 쓰는 것은 실용에 목적이 있는 것이고, 서예는 사람들에게 예술을 감상하게 하는 것이다. 서예는 실용가치 .. 서예입문/서예자료 2014.02.23
우리나라의 서예사 우리나라에 한자가 들어온 시기에 관해서는 확실한 문헌이 없으나 대체로 B.C. 2-4세기 경으로 추정되고 있다. 당시의 문자 자료는 현재 전해지고 있는 것이 하나도 없으며 다만 전한(前漢)시대의 명문(銘文)에 새겨진 동경(銅鏡)이 평양지방에서 발견된 일 이 있고, 그후 낙랑군(樂浪郡)유.. 서예입문/서예자료 2014.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