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좋은 行書法---- 三和堂 李晩宰 좋은 行書法 찻잎,(三和堂 李晩宰) 行書.. 行書라 하면 楷書를 간편히 쓰기 위함이며 편리하게 빨리 쓰는 서체이니 우리가 작품이나 詩를 통해 자유로히 자신의 心中을 적어나가는 서간의 의미도 있는 자신의 독특한 창작의 예술성을 필체로 나타낼수도 있는 서체임에 일반 서예.. 한문서체/행서 2011.12.24
[스크랩] 각종 한자사전 바로 찾아보기 다음 한자사전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네이버 한자사전 http://hanja.naver.com/ 엠파스 한자사전 http://alldic.empas.com/search/handic.html?q=%F2%E7&o= 언어닷컴 한자사전 http://www.eoneo.com/lang/hz/ 야후 한자사전 http://kr.dic.yahoo.com/search/hanja/ 존 한자사전 http://hanja_dic.zonmal.com/ 서예입문/한문자료상식 2011.12.24
[스크랩] 서예이론 (1) 필봉(筆鋒)이란 붓털 중에서 뾰쪽하고 약간 노르스름한 빛을 띠는 부분을 필봉(筆鋒)이라고 한다. 이외에 글자의 첫 시작 부분도 필봉이라고 한다. 붓을 움직일 때 붓의 뾰쪽한 부분을 글자의 중심에 오게 하여 글씨를 쓰는것을 중봉(中鋒)이라 하고,붓 끝을 감추어 모서리가 나오..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1.12.24
[스크랩] 중국서법가 행서 风斋论书 황돈 선생 2006년 월간지 '서예문화'에 중국의 서예가를 활발히 소개한 적이 있다. 석사를 마치면서 2006년초에 황돈선생님을 찾아 뵌 적이 있었다. 2005년에는 남경에 직접 찾아가 만나뵈었고, 2006년에는 선생님이 산동으로 오셔서 찾아뵈었다. 처.. 한문서체/행서 2011.12.21
[스크랩] 국립전주박물관, `전북의 서예`특집전 열어 【전주=뉴시스】박원기 기자 = 전북 전주 국립전주박물관은 오는 2월1일부터 5월22일까지 특집전 '전북의 서예'를 연다. 이 사진은 조선 전기 설씨부인(1429~1509)이 쓴 권선문첩(勸善文帖)으로 보물 제728호다.(사진=국립전주박물관) wgpark@newsis.com 2011-01-31 전주=뉴시스】박원기 기자 = .. 서예입문/서예자료 2011.12.21
楷書에 대한 고찰 해서에 대하여 楷書에 대한 고찰 ------------------------------------------------------------------------- 1. 해서의 기원 해서는 書體의 하나로써 올바르게는 楷書體라 해야 한다. 문자가 창시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5천년 전이라 한다. 현존하는 가장 오랜 것으로 殷代(은대)의 甲骨文字(갑골문자),.. 한문서체/해서 2011.12.21
[스크랩] ■ 낙관(落款)이란 ■ ■ 낙관(落款)이란 ■ 출처 - http://artsquare.co.kr 참조 낙관이란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준말로 '관서'라고도 한다. 동양 예술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조형 세계로 작품을 완성하고 화제를 쓰고 아호, 성명, 연월일 등을 쓰고 도장을 찍는 일 모두를 말한다.낙관은 그린 사람이 누구.. 전각/전각작품 2011.12.21
[스크랩] 글씨를 쓰는 것과 서예와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글씨를 쓰는 것과 서예와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 사람들은 글씨를 쓰는 것이 곧 서예라고 알고 있는데, 사실은 완전히 같은 종류의 것은 아니다. 간단히 말하면 글씨를 쓰는 것은 실용에 목적이 있는 것이고, 서예는 사람들에게 예술을 감상하게 하는 것이다. 서예는 실용..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1.12.20
[스크랩] [사이트소개]서예 전공 관련 중국 인터넷 싸이트 < 전공 관련 중국 인터넷 싸이트 소개와 이용 방법 > 한국 사람들이 궁금한 것이 있을 때 가장 쉽고 빠르게 궁금증을 해결하는 방법은 인터넷이다. 나 역시 전공과 관련된 활동이나 서적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을 때 바로 컴퓨터 앞에 앉는다. 중국 유학 생활을 하면서 아무래.. 서예입문/서예자료 2011.12.14
[스크랩] 무이구곡가 내용과 사진설명 중국 - 푸젠성, 무이구곡 무이구곡(武夷九曲)은 중국 푸젠성(福建省)에 있는 무이산(武夷山)의 아홉 굽이 계곡 경치가 매우 좋아, 일찍이 송나라 주희(朱喜)가 구곡가(九曲歌)를 지은 데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성리학(性理學) 또는 주자학(朱子學)과 많은 연관이 있는 이곳을, 언.. 사진/사진 2011.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