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석(현민식)의 귀거래사 <동기창이 쓴 귀거래사; http://blog.daum.net/imrdowon/8468080> 이번에 라석 현민식 선생님의 <법고창신 60년 라석 현민식 시화전>에 출품된 귀거래사를 도록에서 발췌하여 올립니다. 동기창의 글씨와 비교하면서 읽어보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될 것 같습니다. <라석 현민식 서 귀거래사>.. 서예입문/서예자료 2012.12.10
일중-김충현 소전 이후 가장 빛나는 서예가는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1921~2006)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일중은 어떤 면에서는 소전과 쌍벽을 이룰만한 서예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큰 영향력을 미쳤다. 그는 어릴 때부터 일본인과는 타협하지 않는 가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14세 될 때까지 학.. 서예입문/서예자료 2012.12.03
明心寶鑑 明心寶鑑 池濬, 譯註 讀者諸賢, 惠存 歲在一千九百九十七年十一月日書 명심보감은 고려 시대의 문신(文臣) 추적(秋適) 선생이 동몽(童蒙)들을 위하여 고전에서 귀감이 될 만한 문구들을 발췌하여 편집한 책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여러 번 읽어보면서 느낀 점은 글귀도 물론 좋지만 .. 서예입문/한문자료상식 2012.12.03
서예이론 1. 筆 法 用筆法(용필법) 지면에 점획을 揮毫(휘호)할 때 올바른 집필법과 자세에 의하여 붓의 성능을 잘 살려서 어떻게 하면 점획에 자세와 性情(성정)이 잘 표현되어 생동미 있는 書를 揮毫(휘호)할 수 있는가 하는 즉 筆의 使用法(사용법)을 말하는 것이다. 運筆法(운필법) 用筆(용필)의 ..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11.29
[스크랩] 서예비평(장지훈) - 전문성과 소통을 겸비한 서예전시문화(2007) 전문성 소통을 겸비한 서예전시문화 장지훈(성균관대 강사, 철학박사) 1. 취미와 전문성 사이의 어중간한 장르로서의 서예 동아시아에서 서예가 예술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대략 중국의 동한시대(東漢時代)로 거슬러 올라간다. 물론 그보다 훨씬 이전의 도기부호(陶器符號)나 갑골문(.. 서예입문/서예자료 2012.11.28
簇子(족자)의 이해 일반적으로 서화를 벽면에 걸어서 감상할 수 있도록 비단과 종이로 꾸며준 축(軸)을 족자라 한다. 중국은 괘축(掛軸)이라 하여, 북송시대부터 서화를 표구하여 벽에 걸어서 감상한 것으로 알 려져 있다. 본래는 티벳민족이 초기 불상의 도상(圖上)을 벽에 걸기 위하여 만든 것이 시초 였으.. 서예입문/서예자료 2012.11.21
한문 이야기 截끊을 절 ; 연속된 내용에서 어느 부분을 적당한 길이만큼 만 선택하는 것을 말함. 臨임할 임 ; 내 생각대로 하지않고, 보이는 모양에 의거하여 쓰거나, 그리는 일. 천자문 절임이란 누구의 글씨로 천자문을 쓴 것이 있다면 (예; 한석봉천자문이나, 왕희지 초서천자문), 거기서 어느 부분.. 서예입문/한문자료상식 2012.11.13
실록으로 본 조선의 기인들 실록으로 본 조선의 기인들 실록으로 본 조선의 기인들 아홉번 과거시험에 모두 장원급제한 한국사의 천재 이율곡 한국의 역사상 현인의 경지에 근접한 인물을 꼽으라면 관점의 차이는 있겠지만 율곡 이이 선생을 꼽는데 누구도 주저하지는 않을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율곡 선생.. 서예입문/한문자료상식 2012.11.12
서예의 정의와 3대 요소 서예의 정의와 3대 요소 서예(書藝)는 문자를 표현한 독특한 예술이다.특히 모필을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하기 때문에 애초부터 문자를 기록한다는 서사적 기능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러나 서예는 실용가치 뿐 아니라 예술적 행위로서의 가치를 동시에 지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글씨 쓰..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11.12
한시 감상 漢詩 80首 감상 ★ 산행(山行) - 두목(杜牧) 당 말기 시인(803-853) 遠上寒山石俓斜(원상한산석경사)-멀리 사람없는 산에 오르니 돌길이 비스듬히 끝이 없구나 白雲深處有人家(백운심처유인가)-흰구름이 피어오르는 곳에 인가가 있어 停車坐愛楓林晩(정차좌애풍림만)-수례를 멈추고 석양에 .. 서예입문/서예자료 2012.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