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서예란 무엇인가? 서예란 무엇인가? <나에게 서예란 무엇인가?> 2011년 2월호 <월간 서예문화> 특집기획시리즈 기사로 대신합니다.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8.19
족자 일반적으로 서화를 벽면에 걸어서 감상할 수 있도록 비단과 종이로 꾸며준 축(軸)을 족자라 한다. 중국은 괘축(掛軸)이라 하여, 북송시대부터 서화를 표구하여 벽에 걸어서 감상한 것으로 알 려져 있다. 본래는 티벳민족이 초기 불상의 도상(圖上)을 벽에 걸기 위하여 만든 것이 시초 였으.. 서예입문/서예자료 2012.07.21
字體와 書體 그리고 서예작품 감상 字體와 書體 그리고 서예작품 감상| 서예 전시장을 찾는 관람객은 대부분 '체'에 관심이 많다. 따라서 전시장에서 이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이런 글씨를 무슨 체라고 합니까?'라는 것이다. 그럴 때마다 나는 이렇게 반문하는 것으로 설명을 시작한다 '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7.14
호와 휘 호 호(號)는 우리 나라나 중국에서 본이름이나 자(字) 외에 허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지은 이름을 말한다. 2종 이상의 이름을 갖는 복명속(復名俗) 또는 본이름 부르는 것을 피하는 실명경피속(實名敬避俗)에 근원을 두고 나오게 된 이 호는 중국에선 당나라 때부터 시작하여 송나라 때에 ..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7.10
캘리그라피 필기체·필적·서법 등의 뜻으로, 좁게는 서예를 가리키고 넓게는 활자 이외의 서체(書體)를 뜻하는 말이다. 어원은 손으로 그린 그림문자라는 뜻이나, 조형상으로는 의미전달의 수단이라는 문자의 본뜻을 떠나 유연하고 동적인 선, 글자 자체의 독특한 번짐, 살짝 스쳐가는 효과, 여백..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7.10
채근담(菜根譚) 채근담(菜根譚)에 대하여 중국 명(明)나라 말 홍자성(洪自誠)이 지은 책. 책의 이름은 송(宋)나라 왕신민(汪信民)의 소학(小學) 가운데 <사람이 항상 채근(菜根)을 씹을 수 있다면 백사(百事)를 이룰 수 있다>에서 따온 것이다. 명나라 말 유교적인 교양을 기초로 도교·불교를 조화시킨.. 서예입문/한문자료상식 2012.07.04
한국서예사 1.고구려 광개토대왕 능비 고예체 2.백제 사택지적비와 무년왕릉에서 출토된 지석에서는 육조체 3.신라 신라의 서풍은 행서는 왕희지체 4.통일신라시대 통일신라시대부터는 주로 해서인 구양순의 필법이 성행 화엄경각서 진흥왕 순수비및 무장사비등의 서적과 최치원의 진감선사비는 구..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7.03
서예의 장법 한 폭의 서예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원칙이 있을 것이다. 마치 서예를 배울 때 글자의 조형 원칙이 있듯이 서예 창작시에도 기본적인 준칙이 있을 것이다. 우연히 서예장법을 기술한 글이 있어 공부하면서 몇 회에 걸쳐 올려 보려 한다. 서예작품은 폭이 넓고 긴 족자 [中堂]. ..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7.02
서예의 규율 一. 서예 형식의 獨立性 작품 속에 간직된 일체의 미는 공중에 매달려 있는 것이 아니고, 그것들은 모두 작품의 형식 중에 덧붙여서 있다. 요즈음 사람들이 즐겨하는 “創新”은 철학적 사고에서 머물러서는 아니 되며, 그 근본 문제는 관념이 더 새로워진 뒤의 형식적 創新이다. 서예 형..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7.02
[스크랩] 한문서예기초 平橫(평횡) 平橫(평횡) 凸橫(철횡) 腰細橫 (요세횡) 直竪(직수) 下尖竪 (하첨수) 斜鱉(사별) 弧鱉(호별) 縱波(종파) 橫波(횡파) 竪鉤(수구) 右彎鉤 (우만구) 斜鉤(사구) 橫折鉤 (횡절구) 橫折右斜鉤 (횡절우사구) 竪彎鉤 (수만구) 弧鉤(호구) 橫鉤(횡구) 右向逃 (우향도) 右上逃 (우상도) 上向挑 (상향도) 側..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