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비(서체의 독창성과 한국서예사적 가치) <광개토대왕비> 서체의 독창성과 한국서예사적 가치 남재(南齋) 심우정(沈愚正) 목 차 Ⅰ. 시작하는 말 Ⅱ. 건비배경과 시대적 상황 1. 배경과 내용 2. 시대적 상황 Ⅲ. 서체의 독창성 1. 4-5세기 고구려의 서체유형 2. 서체논변 점검 3. 서체의 특징 Ⅳ. 서예사적 가치 Ⅴ. 맺음 말 * 참고문..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11.01
[스크랩] 화양계곡 서예자료(마애각석) 화양계곡 서예자료1 마애 각석자료 화양계곡에는 바위에 새겨진 많은 마애각석자료가 있다. 이 가운데 몇 가지 서예자료에 대해서 소개한다. 첫째, 비례부동(非禮不動) 비례부동(非禮不動)은 “예가 아니면 행하지 말라”는 뜻으로 중국을 다녀온 민정중이 사행길에 명나라 마지막 황제.. 서예입문/서예자료 2012.10.28
[스크랩] 김생에서 추사까지 예술의 전당-서예박물관 기획전시-김생에서 추사까지 서예박물관-김생에서 추사까지 예술의 전당-서예박물관 기획전시-김생에서 추사까지 예술의전당과 경상북도는 해동서성 김생(711~791이후) 탄생 13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으로 <필신 - 김생에서 추사까지, 한국서예걸작 30>을 2011.. 서예입문/서예자료 2012.10.27
서예의 필순(筆順) 필순(筆順) 1) 위에서 아래로 쓴다.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3) 좌우 대칭될 때는 가운데 부분을 먼저 쓰고 왼쪽,오른쪽의 순서로 쓴다. 4) 가로,세로가 겹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긋는다. 5) 가운데를 뚫는 획은 나중에 긋는다. 6) 허리를 끊는 획은 나중에 긋는다. 7) 아래로 에운 획은 ..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10.19
書藝의 慨念과 本質 書藝의 慨念 (서예의 개념) 출처 : 水息處 書藝(서예)를 이미 형성된 글자를 쓰는 단순한 것으로 생각하기쉽다. 예로부터 전해지고 있는 만당(晩唐) 시대에 유공권(柳公權) 은 心正筆正 (심정필정)이라했다.즉 마음이 바르게 되어야 글씨가 바르게 써진다. 마른 대나무 筆管(필관)을 통하여..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10.08
천자문의 구성과 내용 천자문의 구성과 내용 四言詩로 이루어진 一章의 대서사시, 文․史․哲 동양고전 종합입문서 천자문은 단순히 천개의 글자를 모아 놓은 사자성어 선집이 아니다. 이는 천 개의 글자에 대해 훈과 음을 외우고 글귀를 해석하는 것만으로 천자문 공부를 다한 것이 아니란 뜻이다. 천.. 서예입문/한문자료상식 2012.09.28
[스크랩] 모르는 漢詩 찿기 작품글감이나 모르는 한시에 대해서 자료를 찾으시려면 아래 주소로 찾아가 보시기 바랍니다. 한국고전종합데이트베이스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에서 찾으시면 우리나라 한시는 상당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예입문/서예자료 2012.09.23
落款에 관한 고찰 낙관에 대하여 落款에 관한 고찰 ------------------------------------------------------------------------- 1. 낙관의 뜻과 용도 낙관(落款)과 아인(雅印)을 혼동해서는 안된다. 어떤 사람은 아인이 찍혀져 있지 않으면 낙관이 안된 것으로 아는데 이것은 모르는 말이다. 낙관이란 글씨나 그림의 본문을 다 ..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9.03
문자의 생성 漢文書藝 <문자의 생성> 한자의 생성은 여섯가지로 나누어 볼수 있는데 한나라 때 허신(許愼)이 <설문해자(說文解字)>의 서(序)에서 주례(周禮)를 근거로 하여 육서(六 書)라고 지칭하였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가)상형(象形) : 실체의 형을 본떠서 만듦 : 日 月 山 川 ..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8.30
[스크랩] 서예연구의 기초개념2 -感- 感 작품을 보고 感(느낌)을 이야기하는 것은 서예연구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다. 그런점에서 아래에 소개한 선인들의 임서관련 도판들은 感을 도야하는 귀중한 자료가 되어줄 것이다. 선인들의 임서학습에 대해서는 "임서가 살아야 창작이 산다"(세예세상 임서교실)에서 이미 언급한 바..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