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이론-절임, 임모법 截끊을 절 ; 연속된 내용에서 어느 부분을 적당한 길이만큼 만 선택하는 것을 말함. 臨임할 임 ; 내 생각대로 하지않고, 보이는 모양에 의거하여 쓰거나, 그리는 일. 천자문 절임이란 누구의 글씨로 천자문을 쓴 것이 있다면 (예; 한석봉천자문이나, 왕희지 초서천자문), 거기서 어느 부분..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3.08.06
이매창(李梅窓) 계랑은 부안의 기생인데, 스스로 매창이라 호를 지었다. 언젠가 지나가던 나그네가 그의 소문을 듣고는, 시를 지어서 집적대었다. 계랑이 곧 그 운을 받아서 응답하였다. 平生恥學食東家 평생에 기생된 몸 부끄럽게 여기고 獨愛寒梅映月斜 차가운 매화가지에 비치는 달을 홀로 사랑했었.. 서예입문/서예자료 2013.08.05
[스크랩] 한국의 서예가와 그 작품들 소전 이후 가장 빛나는 서예가는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1921~2006)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일중은 어떤 면에서는 소전과 쌍벽을 이룰만한 서예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큰 영향력을 미쳤다. 그는 어릴 때부터 일본인과는 타협하지 않는 가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14세 될 때까지 학.. 서예입문/서예자료 2013.08.04
왕희지(王羲之) 321~379 왕희지(王羲之) 321~379 서성(書聖)으로 일컬어지는 중국 최고의 서예가(書藝家)로, 자는 일소(逸少)이고 산둥성(山東省) 낭야(瑯邪)인 지금의 린이현(臨沂縣) 사람이다. 아버지 왕광(王曠)은 동진(東晉) 건국에 공을 세운 왕도(王導)의 사촌동생이 된다. 왕희지(王羲之)는 비서랑(秘書郞:(궁.. 서예입문/서예자료 2013.06.28
[스크랩] 踏雪,서산대사,禪詩[서예] 踏雪,서산대사,禪詩[서예] 金春剛이 좌우명 제일 좋아하는서산대사 선시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눈을 밟고 들 가운데를 가는데 不須胡亂行(불수호난행): 모름지기 어지럽게 가서는 아니된다, 今日我行跡(금일아행적):오늘의 내 발자취는 遂作後人程(수작후인정):뒤따라 오는 사람에게 .. 서예입문/서예자료 2013.05.18
[스크랩] [인제여행]추사 김정희의 맥을 이은 한국 서예계의 양대산맥인 쌍수 서예가 여초 김응현/여초김응현서예관 한국건축문화 대상에서 우수상을 받은 멋진 건축물 여초김응현서예관 한국과 중국에서 왼손글씨 전시인[좌수전 左手展]을 열기도한 쌍수 서예가 여초 김응현 그의 일생을 만나볼수있는 여초 서예관을 가다. 호는 여초(如初). '추사 이후 여초'라는 말을 들을 만큼 중국에서 전해온 모든 .. 서예입문/서예자료 2013.05.08
고구려의 서예 고구려의 서예 -한국서예의 원형을 찾아서- 한국의 고대서예 고대 한국은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었다. 그렇다보니 문화와 학술등에 있어서 중국과 교류를 한다기보다 중국의 것을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상황이었다. 서예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한국의 고대서예.. 서예입문/서예학이론 2013.04.26
서예관련 사이트 서예/문인화관련단체 한국미술협회 한국서가협회 한국서각협회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한국서예협회 한국전각학연구회 한국기독서예선교원 한국진사서화협회 서사모 한국전각학회 금초서예문화 ▣ 포탈사이트 서예로닷컴 아트코리아 코리아아트 가나아트 묵객 잉크아트 서예와컴퓨.. 서예입문/서예자료 2013.04.18
한자교육 한자, 얼마나 아세요? 1970년대 이후 초등학교 교과목에서 한문이 사라지고 공공 문서 등도 국한문 혼용 체계가 되면서 요즘 아이들은 한자에 대한 관심이 많이 줄어든 것이 사실이죠. 한자를 모른다고 해서 생활을 하기가 힘든 건 아니지만 우리말 어휘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를 .. 서예입문/한문자료상식 2013.03.03
전국시대 초간과 서예 戰國時代 楚簡과 書藝 | ‘郭店楚墓竹簡’이란 1993년 10月 18日부터 24日까지 荊州市博物館이 中國 湖北省 荊門市 沙洋區 四方鄕 郭店村에서 발굴한 戰國時代(약 BC 475 - BC 221)의 楚나라 竹簡을 말한다. ‘郭店楚墓’의 관곽(棺槨) 頭箱에서 竹簡이 804여 매가 발견되었다. 이 죽간은 도굴 때.. 서예입문/서예자료 2013.03.01